[사설]

대전·충청에 인재풀이 턱없이 부족하다. 장·차관급은 물론이고 이를 뒷받침할만한 중간직급도 얇다. 사다리처럼 자연스럽게 위로 올라가는 선순환 구조의 인적 자원 양성 환경이 제대로 작동되지 않는 탓이다. 충청인사 홀대론 역시 이와 무관치 않다. 충청권에는 정작 장·차관으로 뽑을만한 인물이 없다는 얘긴가. 근본적인 지역인재육성의 필요성을 제기할만하다.

더불어민주당 박병석 의원이 어제 기회균등차원에서 정부부처 고위직에 대전·충청출신을 고루 등용해야 한다고 밝혔다. 정부 수립 이후 정부 인사가 영남 주축이 돼 왔고 충청은 상대적으로 소외됐다는 분석 역시 일반화된 인식이다. 그러는 사이 중앙부처 1급과 차관급에서도 충청인사 기근현상이 드러나면서 충청출신 장관 배출의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면 이는 보통 심각한 일이 아니다. 대전 출신 중앙부처 1급은 기재부에 단 1명밖에 없다.

박 의원이 고위직 발탁과는 별개로 중간직급에서도 대전·충청 인사의 고른 등용이 중요하다고 지적한 대목은 백번 들어도 정확한 진단이다. 중간 직급이 두터울수록 그 가운데서 장차 유능한 고위 인사를 키워낼 수 있는 인적 자원의 용량이 더 커지는 건 당연한 이치다. 탕평인사의 유용성을 여기서도 재확인할 수 있다. 지역인재들이 중앙부처 곳곳에 배치될 수 있도록 다각적인 방안을 강구할 때다. 국정 각 분야에서 충청출신 인사들이 익힌 식견과 능력을 더 크게 살릴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수적이다.

문재인 정부 1기 내각 장·차관 인사에서 대전·충남 출신 인사가 단 1명에 불과했다. 그나마 대전출신은 한명도 없었다. 단순 수치만 봐도 문제의 심각성이 그대로 드러난다. 충청인사의 홀대론은 역대 정부에서도 해묵은 주제였다. 고질병 수준을 넘어선지 오래다. 그 원인은 궁극적으로는 충청인재풀의 부족이라는 결과물을 빚어냈지만, 본질적으로는 정부 의지의 문제였다. 지역과 파벌 불문하고 고른 인재 등용이라는 탕평인사의 신념 없이는 이뤄질 수 없다.

지역균형발전은 인사와 재원 그리고 권한 차원에서도 균등한 배분이 이뤄져야 가능해진다. 지역인재의 중앙부처 진출 길을 터주고 승진 등 인사상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하는 배려도 필요하다. 한결같이 쉽지 않은 일들이다. 하지만 지역 정치권이 그 해결의 단초를 터주어야 한다. 정확한 실태를 데이터베이스화해서 지역인재육성책을 마련해야 하겠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