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어제 새벽 대전시 동구 정동 중앙시장에서 불이 나 점포 13개가 불에 타는 등 피해가 발생했다. 점포가 밀집된 복잡한 구조의 전통시장은 화재가 나면 진화가 어려워 대형 피해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화재 진압에 나선 소방당국은 일부 점포가 목조건물이라 붕괴위험 등으로 진입하지 못해 진화에 어려움을 겪었다고 한다. 중앙시장 내에는 1443개의 점포가 영업을 하고 있다.

전통시장에 대한 안전점검을 강화하고 있음에도 화재가 발생했다는 건 그만큼 전통시장이 화재에 취약하다는 반증이다. 지난 1월 전남 여수시 여수수산시장에서 불이 나 125개 점포 중 116개 점포가 피해를 입었다. 앞서 지난해 11월 대구 서문시장에서 발생한 화재로 679개 점포가 전소해 소방서 추산 469억원의 재산피해가 났다. 최근 5년간 전국 전통시장에서 발생한 크고 작은 화재가 300건을 넘는다고 한다.

당국은 전통시장에서 화재가 빈발하자 소방시설을 확충하는 등 화재예방에 진력하고 있다. 하지만 이번 중앙시장 화재에서 보듯 전통시장은 노후건물이 많은데다 점포 사이의 통로도 좁아 화재에 취약하다. 전통시장 주변에 널려있는 장애물은 소방차 진입을 가로막는 요소다. 최초 신고 이후 골든타임(5분) 이내에 신속히 진화해야 피해 최소화가 가능하나 여의치 않은 실정이다.

허술한 전기·소방시설은 전통시장 화재의 주범으로 꼽힌다. 국민안전처가 전국의 전통시장 1256개소를 대상으로 안전관리 실태를 점검한 결과 733건이 지적됐다. 화재수신기 회로 단선, 유도등 파손 등이 648건으로 가장 많은 지적을 받았다. 소화기 관리 불량도 큰 비중을 차지했다. 소화기는 화재 초기진화의 중요한 설비다. 전통시장 활성화에 1조5000억원을 쏟아 부었지만 화재의 위험성은 여전히 상존하고 있다.

국정기획자문위원회는 전통시장의 화재안전망 구축을 위해 오는 2022년까지 19만여 개 모든 점포에 화재감지시설 설치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전통시장의 화재감지시설 설치율은 30% 정도에 불과하다. 이러다보니 화재 조기진화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화재안전시설 보강 못지않게 중요한 건 시장 상인들의 안전관리 능력 배양이다. 대형 화재의 이면에 안전불감증이 도사리고 있었음을 명심해야겠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