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을 떠나는 연구원들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출연연의 연구 환경이 상대적으로 열악하다는 반증이다. 연구원 유출 및 높은 이직률을 그대로 두고만 볼일이 아니다. 대덕특구 위상 재정립은 물론 국가과학기술발전 차원의 인재육성 및 유치 방안이 긴요한 시점이다.

신용현 국민의당 의원의 국감자료에 따르면 2011년부터 올해 6월까지 출연연 퇴직자 1261명 가운데 64%(810명)가 스스로 사표를 내고 출연연을 떠난 것으로 집계됐다. 매년 120명 정도의 우수인재가 출연연을 떠난다. 이들 중 449명(55.4%)은 대학 교수로 자리를 옮겼다. 대학 교수의 경우 65세까지 정년이 보장되고, 출연연보다 연구 환경이 비교적 좋은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는 점에서다. 연구원 이탈규모 증가와 속도가 점차 가속화되고 있다는 건 예삿일이 아니다.

이대로 가다가는 20·30대 연구원 비율이 줄어들면서 연구원의 노령화가 빠르게 진행될 판이다. 2000년 이후 10년간 출연연 연구원 연령분포를 보면 20대~30대 연구원의 경우 65.5%에서 37.7%로 반토막 났고, 40대~50대는 34.5%에서 63.2%로 늘어났다. 젊은 연구 인력 배치상 구조적인 한계와도 맞물려 있다. '공공기관 비정상의 정상화 개혁' 프로그램이니 임금피크제 등이 오히려 출연연 기피풍조를 부추겼다는 지적을 피할 길이 없다.

핵심은 연구 환경의 개선에 모아진다. 구체적으로는 연구원 신분 안정과 처우 개선 등을 들 수 있겠다. IMF 경제위기를 빌미로 1998년 연구원들의 정년을 65세에서 61세로 줄인 후 연구원의 이직과 이공계 기피 등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연구비는 늘어났는데도 연구자는 오히려 크게 부족한 기현상이 벌어진다. 연구직 65세 정년 환원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이유다. 그런 마당에 임금피크제까지 도입한 것은 이중 차별이라는 비판이 나오는 게 아닌가.

출연연의 고급인력 유출 현상은 우리나라 과학기술력 경쟁력 향상에 암울한 요인임에 틀림없다. 비단 출연연 기피-대학 선호의 편중 현상에만 국한되는 게 아니다. 그러잖아도 우리나라의 두뇌유출 지수는 세계 46위로 한국을 떠나는 인재들이 많다. 국가전략 차원에서 이공계 분야의 고급인력 양성 시스템 정비로부터 국내 각 부문별로 고급인력 처우방안 개선에 이르기까지 면밀하게 다듬어야 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