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진천·음성에 조성되고 있는 충북혁신도시가 자치단체의 관심 저조와 부족한 정주여건으로 전국 11개 광역시·도에 건설되는 10개 혁신도시 중 이주율이 가장 낮다는 우울한 소식이다. 진천·음성 지역 690만㎡(208만 평)의 부지에 한국가스안전공사 등 11개 공공기관이 오는 2020년까지 이전을 마무리할 예정이지만, 현재까지 직원들의 가족동반 이주율이 16%에 머물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이주민의 65%인 1만 1500여 명의 전출지도 외지가 아닌 충북 도내라는 점에서 우려의 목소리도 높다. 전체 이주민의 52%인 9143명은 진천·음성 군민이라고 하니, 국토균형발전을 위해 조성되는 혁신도시 건설취지마저 무색해지고 있다.

공공기관 종사자들이 이주를 꺼리는 가장 큰 이유는 의료기관은 물론 생활편의, 교육, 주차 등 모든 정주여건 시설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충북혁신도시에는 아직까지 종합병원이 단 한 곳도 없고 교육시설도 유치원과 초·중학교 각 2곳, 고등학교가 1곳밖에 존재하지 않는다. 인구증가 폭에 맞춰 유·초·중·고를 각 1개씩 증설할 계획이지만 명확한 시행계획조차 없는 상황이다.

게다가 주차시설 부족으로 인해 대로변과 골목 등 도로 곳곳이 주차장을 방불케 하고 있다고 한다. 고작 700여 대를 주차할 수 있는 공영주차장 3개소, 사설 주차장 부지 4만 5000여㎡가 전부이다. 그러고도 혁신도시 건설이 수도권 일극(一極) 중심의 불균형을 해소하고 낙후된 지역발전을 확보할 수 있는 대안이라고 말할 수 있는지 의문이다.

자칫 공공기관 종사자들이 주중에 잠시 머무는 ‘기러기 도시’, 주말이면 불 꺼진 ‘유령도시’로 전락하는 게 아닌지 걱정하는 이들도 많다. 수도권에 있던 공공기관 몇 개가 혁신도시로 내려온다고 지방이 확 살아나고 경제가 활성화된다고 기대한 건 아니지만 걱정이 크다. 공공기관 종사자들이 이주하지 않는다고 비난하기에 앞서 정주여건을 시급히 마련해야 하는 이유다. 혁신도시 건설이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의 마중물이 될 수 있도록 자치단체에만 맡겨놓을 것이 아니라 정부가 직접 나서야 하는 것도 그 때문이다. 교육환경이 나아지고 정주여건이 좋아져야 내려올 게 아닌가.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