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올해 공공기관 청렴도는 10점 만점에 7.94점으로 지난해보다 소폭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청탁금지법 시행의 영향이 상당 수준 작용했다. 충청권의 경우 광역단체 종합청렴도 순위는 충남이 1위, 세종 10위, 대전 12위, 충북 14위에 랭크됐다. 측정 대상기관 자체의 내부 청렴도는 물론 국민의 체감도, 전문가 그룹의 평가까지 합산하고 부패사건 발생 정도까지 고려하므로 비교적 정확한 데이터라고 할 수 있다. 대체로 기관장의 반부패의지와 기관 내외의 자정 마인드를 특히 주목하게 된다.

2013년, 2014년 연속 17위로 광역지자체 중 꼴찌를 기록하던 충남이 이번엔 종합청렴도 10점 만점에 8.07점을 기록, 전국 1위를 달성한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2015년 7위, 2016년 2위에 이어 1위를 달성한 것이다. 전국 평균(7.65점)보다도 월등히 높다. 세부적으로는 외부청렴도 8.39점, 내부청렴도 7.99점, 정책고객 평가 6.88점을 기록했다. 부패취약분야에 대한 강도 높은 청렴대책을 추진한 결과다.

전국 기초자치단체 가운데서는 대전 대덕구가 8.56점으로 유일하게 1등급을 기록했다. 대덕구는 외부청렴도 평가에서 2등급, 내부청렴도 평가에서 1등급을 각각 받았으며, 전년대비 0.29점이 오른 수치다. 대전 동구는 3위를 기록했다. 군 지역에서는 보은군과 옥천군이 각각 2위와 3위를 차지했고, 영동이 6위, 예산 7위를 기록했다. 그 밖의 충청 군 단위는 저조한 성적을 보였다.

충청권 교육청의 청렴도를 보건대 획기적인 결과는 나오지 않고 있다. 순위를 보면 세종교육청이 3위, 충북교육청 9위, 충남교육청 11위, 대전교육청 15위로 나왔다. 세종교육청(8.00)을 제외하고 전국 평균 종합청렴도 7.66이하를 기록하고 있다. 각 교육청이 청렴도 향상을 위해 요란을 떨었지만 막상 그 결과는 시원치 않았다.

청탁금지법 시행으로 부패관행이 상당부분 개선된 것은 고무적이다. 금품 향응 제공자가 현저하게 줄었고, 소속 직원들의 청렴수준의 기대치 또한 높은 것으로 나왔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청렴지수는 아직도 낯부끄러운 수준이다. 국제투명성기구(TI)의 평가 결과 한국의 부패인식지수는 지난해 175개 조사대상국 중 52위에 불과하다. 세계 10위권 경제규모에 비하면 갈 길이 멀다. 공직자가 반부패에 앞장서는 풍토가 전제돼야 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