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구직난이 얼마나 심각한 지를 보여주는 고용성적표가 나왔다. 통계청이 어제 발표한 연간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실업자 수는 102만8000명으로 이는 2000년 통계작성 이후 최고치이다. 2016년 실업자는 101만2000명보다 1만6000명이 늘었다. 비교적 좋은 일자리로 평가받는 제조업 취업자가 446만9000명으로 전년보다 1만2000명 감소한 건 지나칠 일이 아니다. 정부의 일자리 정책에도 구직자들이 최악의 취업난을 겪고 있다.

충청지역 고용동향도 비슷한 실정이다. 지난해 12월 대전의 실업률은 3.2%로 지난해 같은 달 보다 0.1%p 상승했다. 실업자는 2만5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 보다 0.8% 증가했다. 충남의 실업률도 3.0%로 지난해 같은 달 대비 1.2%p 올랐다. 반면 충북 실업률은 1.8%로 지난해 같은 달 보다 0.5%p 하락했다. 지역 실업문제 해소에 특단의 대책마련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지난해 청년층(15~29세) 실업률은 9.9%로 청년 고용시장에 여전히 먹구름이 끼어있음을 엿볼 수 있다. 구직 단념자가 48만명을 넘는다. 지난해 자영업자 수는 564만2000명으로 전년보다 7만2000명 늘었다. 취업을 포기한 사람들이 사업전선에 뛰어든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숙박?음식점 취업자 수와 일용직이 크게 감소했다고 한다. 최저임금 인상과 인과관계는 없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올해 일자리 전망이 썩 좋은 것도 아니다. 대기업 신규채용 규모는 지난해 수준을 유지할 전망이지만 중소기업의 채용시장은 부정적이다. 중소기업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절반은 올해 채용계획이 지난해와 비슷하다고 대답한 반면 26%는 악화될 것이란 대답을 내놨다. 또 다른 조사에서 중소기업의 절반 이상은 최저임금 인상 시 신규채용을 축소하겠다고 답했다.

일자리를 만드는 건 정부가 아닌 기업이다. 정부는 기업들이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게끔 운신의 폭을 넓혀줘야 한다. 정부의 일자리 정책과 현장사이에 괴리는 없는지 점검해보기 바란다. 실업자들에게 국민소득 3만 달러 진입 얘기는 그림의 떡이다. 한창 일을 해도 모자랄 젊은이들이 구직활동을 포기한 채 가상화폐에 몰리는 현상을 언제까지 바라봐야 하나.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