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전지역 경제여건이 심상치 않다. 생산, 소비, 수출, 고용 등 전반적인 지표가 부진하다. 지역경제를 견인할만한 대표 산업이 없고 그나마 업종별 생산도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내수부진에다 투자도 미진하다. 그러니 고용효과도 좋을 턱이 없다.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경영환경 악화로 서비스업을 비롯해 지역 중소업체가 안팎으로 압박을 받는 형세다. 설 민심은 묻는다. 대전 지역경제를 살릴만한 획기적인 동력은 없는가.

지역경제의 위기론과 맞물린 주제다. 지방분권화시대를 맞아 '6·13 지방선거에서 제대로 된 일꾼을 뽑자'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어 다행스럽다. 꿈과 희망을 키우는 대전, 살기 좋은 지역사회 건설을 위한 대변혁의 계기를 대전시장의 리더십에서 찾는 이유는 명백하다. 충청권에서 대전만 유독 지역경쟁력이 날로 곤두박질치고 있으니 그럴만하다.

지난해 12월 통계청이 발표한 '2016년 지역소득'을 보면 대전의 답답한 현실을 읽을 수 있다. 역대 시장들이 대전을 살리겠다고 다짐을 했지만 모두 공수표에 그쳤다. 시·도별 지역내총생산(GRDP)을 보면 충남(117조원)은 경기, 서울에 이어 3위를 기록했다. 대전(36조원)은 꼴찌에서 3번째다. 충북의 실질 GRDP가 53조2000억 원으로 전년대비 2조9000억 원 늘어난 것과도 큰 격차를 보인다. 산업연구원도 대전의 경우 성장이 멈춘 도시로 진단했다. 대전은 이미 2015년 쇠퇴지역에 진입했다. 충남·충북이 성장지역으로 분류된 것과도 대비된다.

과학기술도시 대전이 어쩌다 이런 지경이 됐나. 우리나라 미래 먹거리를 창출하는 도시라는 목표만 거창했을 뿐이다, 정작 이를 실현할 수 있는 디테일에는 역부족이었다. '4차산업혁명 특별시'도 계획만 요란하다. 시장이 임기 중에 하차하는 사건까지 발생하면서 각종 현안이 산적해 있다. 사회적 비용으로 환산할 경우 실로 막대한 액수다. 요컨대 힘있고 유능한 리더십을 갖춘 인물, 도덕과 품격을 아울러 갖춘 시장을 선출해야만 한다.

아이디어 하나가 도시를 먹여 살리는 시대다. 충남의 삼성LCD, 현대자동차, 현대제철. 석유화학 그리고 충북의 반도체, 바이오 산업, 2차 전지·태양광 셀·모듈 산업 등의 효과가 이를 말해준다. 기업을 유치하면 고용효과도 덩달아 확대되고 인구와 세수도 늘어난다. 소득창출-소비-성장의 선순환 구조로 굴러간다.

각 정당에서도 공천과정에서 지역발전 적합성에 신경을 써야 한다. 전략공천만이 능사는 아니다. 정당 입맛을 생각하기 보다는 미래 비전과 지역 경쟁력의 적임자에 포커스를 맞추길 바란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건 지역민이 이를 엄정하게 투표로 판정할 수 있는 지혜와 능력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