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용전기차 구멍난 안전대책]
비가림막 없는 충전시설, 안전주의문구 하나 없어…정전기 방지패드도 필요

글싣는 순서
<上> 감전사고 첫 사례
<下> 근본적 대책은 없나

이미지박스2-전기차충전시설.jpg
▲ 청주시 한 주민센터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시설. 이 시설에는 안전에 대한 표시나 정전기 방지 패드 등은 찾아볼 수 없었다. 김영복 기자 kyb1020@cctoday.co.kr
전기차 1만대 시대를 눈앞에 두고 청주 지역에서 첫 전기차 감전사고가 발생하면서 체계적인 안전기준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범정부 차원에서 전기차가 친환경 정책의 대안으로 떠오른 가운데 발생한 사고라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11일 충청투데이가 찾은 청주시 한 주민센터의 전기자동차 충전기(EV 충전기)는 안전 사각지대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었다. 전기차 충전시 주의사항은 △충전중 차량 작업금지(세차, 전기 엔진룸 청소 등) △케이블 연결부나 차량 충전 입구 물, 이물질, 녹이 슨 경우 충전금지 △충전 중 전기물질 접촉 금지 △충전 방해물질 접근금지 △충전 케이블의 멀티 플러그 연결 금지 등이 있다.

하지만 야외 주차장 한 켠에 설치된 충전기의 위치를 안내하는 표지판이나 지켜져야 할 안전 문구는 전혀 찾아볼 수 없었다. 주유소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정전기 방지 패드도 설치되지 않았다. 패드에 손을 접촉하면 몸 안에 쌓인 정전기가 대부분 빠져나가 안전한 충전이 가능하다. 비나 눈이 내릴 경우를 대비한 ‘캐노피(비가림막 시설)’도 없었다. 현재 환경부나 제조사측에선 안전성을 자신하고 있지만 바닥에 물과 눈이 있는 경우 감전의 위험성은 언제나 존재한다. 특히 이용자 편의성을 고려하는 차원에서라도 설치될 필요성이 있어 보인다.

자동차 업체 한 관계자는 “아무리 완성도가 높은 전기차라고 하더라도 물기를 멀리하는게 상식”이라며 “충전소 바닥이나 시설은 물기를 조심해야 한다”고 말했다.

근본적인 문제점은 배치된 전기차에 관한 정책을 총괄할 수 있는 ‘컨트롤타워’의 부재다. 2015년 1대에 불과했던 청주지역 전기차는 2016년 4대, 지난해 119대 등 총 124대(관용차량 포함)가 공급됐다. 시 전반적으로 공급은 크게 늘었지만 운영, 보수 등 관리적 측면은 아직까지 요원하다. 이 때문에 이번 감전 사고의 경우에도 행정기관에서는 정확한 사고 원인을 판명할 능력이 부족해 제조사측의 조사 결과만을 기다리고 있는 실정이다.

충전중 만일의 사고에 대비한 보험 역시도 허술하다. A 보험사는 상해손해를 자기신체사고 담보기준에 따라 보상하도록 하고 ‘전기자동차 사고시 배터리 교체비용 특약’을 둬 전기차 가격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배터리 교체 비용을 줄여주고 있다.

하지만 현재 시는 전기차가 아닌 일반자동차 보험으로 가입, 대인·대물에 대한 보장만 취급할 뿐 충전 과정에서 발생한 사고는 전혀 보장받지 못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전기차에 맞는 전용보험이 있다는 사실을 처음 알았다”며 “현재 관용전기차는 각 읍·면·동이나 구청으로 관리권이 이전된 상태이기 때문에 실무자들과 검토해 보겠다”고 말했다. <끝>

김영복 기자 kyb1020@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