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더불어민주당이 결선투표 끝에 허태정 전 유성구청장을 대전시장 후보로 확정했다. 일찌감치 자유한국당 후보로 뛰고 있는 박성효 전 대전시장과의 2강 구도가 설정됐다. 바른미래당은 남충희 예비후보가 나서고, 정의당에선 김미석, 김윤기 예비후보 가운데 시장 후보를 결정한다. 6·13대전시장 후보군의 대진표가 완성된 셈이다. 이제 민심 공략을 향한 본격적인 선거전이 전개되고 있다.

대전 선거 이슈는 크게 몇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대전은 충남과 더불어 해당 시·도지사가 임기 중 불미스러운 사건으로 중도 탈락한 지역이어서 이에 따른 책임론이 부상하고 있다. 이른바 지방정부 심판론 내지는 여당 심판론이다. 또 하나는 도시철도 2호선의 기종과 건설방식을 둘러싼 논란이 재현되고 있다는 점이다. 민선 5기 당시의 자기부상열차 방식이 민선 6기에서 트램(노면전차)으로 선회했던 것처럼 이번에도 그럴 개연성을 배제할 수 없다.

각당 후보들은 지지부진한 유성복합터미널 건설 사업, 월평·매봉근린공원 문제, 도안 갑천 친수구역, 호남선KTX 서대전역 경유 문제 등에 주목하고 있다. 이로 인해 상처받은 민심 끌어안기에 나섰다. 대전이 신성장 동력을 찾지 못한 채 날로 쇠퇴 일로를 치닫고 있는 지역경제의 열악한 현실 또한 빼놓을 수 없다. 과학기술도시라는 대전의 정체성을 살리지 못하고 있다. 이러다가는 그 자리를 타 도시에 내줘야 할 판이라는 위기론이 제기되고 있다. 지속가능한 비전의 현실화 방안을 찾는 일이 시급하다.

우리 미래를 책임질 대전시장의 역할이 커지고 있다. 어느 때보다도 힘있고 유능한 대전의 리더십을 창출해야 할 책임이 있다. 대전은 국토 중원(中原)의 중심으로서 민심의 바로미터라는 정치적 상징성을 지닌다. 각 정당이 대전 석권을 위해 적잖이 공을 들이고 있다. 대전에서 승기의 여세를 몰아 수도권 민심을 공략하는 전략을 눈여겨보는 것도 그러한 까닭에서였다. 지방자치분권 및 국토균형발전에 대한 시대적인 가치를 살리는 문제 또한 거대 담론으로 나올 것이다. 지방 소멸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공약 및 대안을 눈여겨 볼일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