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인구 자연감소시대’…기업이전·청년 유출 우려↑, 중장기 인구정책 등 시급

충청권 인구 감소세가 가파르게 진행되면서 인구정책에 빨간불이 들어왔다. 특히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를 역전하며 인구 자연감소시대 진입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노동력 부족과 세대 간 일자리 경합 등 경제적 파장을 초래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25일 통계청의 ‘2018년 2월 인구동향’ 자료에 따르면 올해 2월 대전지역 출생아수는 600명으로 지난해 2월보다 200명이 줄었다. 2012년 1만 5000명을 기록한 출생아 수는 2013년 1만 4100명으로 떨어지기 시작한 이후 줄곧 1000명대 감소세를 이어오다 지난해 1만 800명까지 떨어졌다.

이 같은 감소세가 지속될 경우 대전지역의 올해 출생아 수 1만명 밑으로 떨어질 것이란 전망도 나오는 상황이다. 충북과 충남도 꾸준히 출생아 수 감소 현상을 겪고 있다. 충북의 경우 지난해 전체 출생아 수는 1만 1400명으로 2012년 1만 5100명 대비 24% 줄었다. 충남은 2012년 2만 400명에서 지난해 1만 5700명으로 23% 감소했다.

반면 충청권의 올해 2월 사망자 수가 같은 기간 출생아 수를 넘어서는 등 사망자 수는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대전지역의 올해 2월 사망자수는 800명으로 출생아 수를 200명 앞질렀다. 지난해 전체 사망자 수는 7000명으로 5년 전보다 6% 늘었다. 충북과 충남도 마찬가지로 올해 2월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 보다 각각 100명·200명 씩 많았다.

전문가들은 출생아 수가 줄어든 것은 출산 연령대 여성 인구의 감소와 결혼 감소 등의 추세로 인해 출산 급감이 사실상 예고된 것이라고 분석한다. 뿐만 아니라 사망자 수 역전에 따른 ‘인구절벽’ 현상이 가시화 되면서 지역 경제의 미치는 파장이 지대할 것이란 우려를 내놓고 있다.

지역 경제계의 한 관계자는 “인구 감소로 채용이 어려워진 기업들의 외지 이전 현상이 일어난다면 청년층의 수도권 및 신도시 유출을 막을 수 없게 된다”며 “이로 인한 노동력 부족은 물론 고용시장의 지속적인 축소에 따른 세대 간 일자리 경합이 확대됨으로써 지역 경제에 큰 파장을 몰고 올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충청권 지자체 모두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경제적 영향과 행정수요 변화를 예측·분석해 중장기적인 인구정책 추진방향과 대응전략을 세우는 한편 대기업이나 타 지역 우량 기업을 유치할 수 있도록 고부가가치 서비스 산업에 투자·지원하는 등 인구 유입 대응방안도 함께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인희 기자 leeih5700@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