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2011년 구제역 파동으로 소, 돼지 등 가축 100여만 마리가 살처분 됐을 때 이를 처리하는 방법과 처리과정이 많은 문제를 야기 했었다. 산채로 굴삭기를 동원하여 마구잡이로 매립하는가 하면 매립장의 침출수가 흘러 나와 심각한 환경문제를 일으키기도 했던 것이다. 그 해 조류독감(AI)로 인하여 전국에서 닭, 오리 등 2400만 마리가 살처분 됐을 때도 그 사체 처리가 위생과 환경 등의 심각한 문제가 되었다.

이런 문제는 지난해에도 계속 됐으나 여전히 그 해결책이 마련되지 않고 있어 안타깝다. 지난해 폭염으로 83만 마리가 폐사했는데 그 처리 방식이 정확하게 조사 조차되지 않고 있는 것이다. 요즘 충남에도 폭염이 장기화 되면서 가축 피해가 속출하고 있는데 올해도 폐사 처리 문제가 혼선을 겪는 것 같다.

이번 폭염으로 현재까지 충남도내 380농가에서 63만8000여 마리의 가축이 폐사한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이중에는 닭이 63만여 마리로 90%이상을 차지고하고 있고 돼지 2325마리 등이 뒤를 잇고 있는데 이들 폐사축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당국으로서는 정확히 파악이 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원래 1회 5t 이상의 일반 폐사축은 열처리 등 처리시설을 이용하거나 폐기물 처리업체에 맡겨야 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피해농가로서는 신고 의무가 없다 보니 당국으로서는 파악이 쉽지는 않다 하겠다. 신고가 안 되니 처리 과정도 파악할 수 없다. 특히 피해농가가 퇴비사에서 죽은 사체를 처리하는 것에 대해서도 지자체간 혼선이 있다는 보도다. 일부에서는 이를 불법으로 처리하는가 하면 오히려 합법으로 인정하는 곳도 있다는 것이다.

매뉴얼에 따라 처리해야 마땅하다. 폐사된 가축은 퇴비로 처리하든 매립이나 열처리를 하든 가장 친환경적으고 위생에 문제가 없는 방식을 농가에 적극 홍보할 필요가 있다. 2012년 구제역 파동에 잠깐 문제로 떠올랐던 가축의 ‘생명윤리’ 문제와 환경 문제를 이 기회에 적립했으면 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