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안전요원이나 구조장비 등을 제대로 확보하지 못한 해수욕장이 꽤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여름철 대표적 국민 휴양지인 해수욕장이 안전사고에 그대로 노출된 것이다. 올해는 폭염이 지속되면서 바다를 찾는 피서객들이 늘고 있다. 모처럼 가족과 물놀이를 나섰다 사고를 당하지 않을까 걱정된다. 시민들이 해수욕장에서 안전하게 피서를 즐길 수 있도록 관리에 철저를 기해주기 바란다.

한국소비자원이 전국 해수욕장 20곳(지정 15곳, 비지정 5곳)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벌인 결과 4곳은 안전요원과 동력구조장비가 모두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해수욕장의 20%가 안전미흡 판정을 받았다는 건 지나칠 일이 아니다. 해수욕장은 지자체가 관리·운영하는 지정해수욕장과 지자체가 관리하지 않는 비지정 해수욕장으로 나뉘는데 주로 비지정 해수욕장이 관리사각지대에 놓여있다.

물놀이 사고는 예고 없이 발생한다. 안전요원 배치는 언제 일어날지 모르는 사고에 신속하고 적절히 대응하기 위해서다. 동력구조장비 구비도 마찬가지다. 감시탑은 안전요원의 시야확보를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하지만 조사대상 20곳 중 절반 가까운 8곳은 감시탑이 아예 없었다. 이러다보니 위급상황이 발생해도 손을 쓰지 못하거나 가족들이 구조에 나서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실제 해수욕장에서는 이런 일이 다반사로 벌어지고 있다.

안전기준이 없다는 게 문제다. 지정해수욕장은 관련법에 따라 안전요원 배치, 동력 구조장비 구비, 감시탑 설치와 같은 안전기준을 준수해야 한다. 하지만 비지정 해수욕장은 별다른 안전기준이 없는 실정이다. 비지정해수욕장은 지정해수욕장에 비해 규모가 작다. 그렇다고 해서 관리사각지대로 방치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해수욕장의 안전과 관련해서는 지정, 비지정 구분이 있을 수 없다. 비지정 해수욕장의 안전기준 마련이 시급하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