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시·도별 남북교류협력사업 구상이 봇물을 이루고 있다. 남북정상회담에 이어 북미정상회담 이후 아직은 비핵화 타결이 이뤄지진 않고 있으나 향후 남북 평화무드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기 위해서다. 어제 열린 충남도·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충남지역회의도 그 가운데 하나다. 평화통일에 대한 공감대 확보, 지방정부 차원의 남북교류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였다.

충남도의 12개 남북교류협력 과제에 대한 도민 의견을 수렴했다는 건 의미 있는 일이다. 삼국 문화유산 교류전을 비롯해 평화통일 줄다리기 등이 바로 그것이다. 충남도-황해도와의 자매결연 사업은 지리적 인접성·역사성 공통점에 기반을 둔 구상이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우선 제도적·인적·재정적 인프라가 구축돼야 사회문화 교류는 물론 인도 지원 그리고 경제교류 등에 대한 상호 이해와 신뢰도를 높일 수 있고 결국 교류 협력의 성과로 이어질 것이라는 점이다.

그런 관점에서 요즘 여러 지자체가 앞 다투어 내놓고 있는 대형 프로젝트를 보면, 과연 실속 있는 결과를 담보할 수 있느냐는 평가를 내리기에는 부담스럽다. 서울 인천 부산 강원 등이 남북 철도 연결, 남북공동경제자유구역 추진 등 다양한 구상을 내놓았다. 여기에 비하면 충청권은 소박한 수준이다. 대전시는 2020년까지 50억원 기금 마련 계획 아래 올해 남북교류 전문가 TF를 구성해서 과학기술분야 교류협력, 기능·기관별 단계적 교류, 다양한 사업 발굴 등 3대 추진 방향을 설정했다. 충북은 3대 분야의 22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다음달 9~19일 충주에서 열리는 세계 소방관경기대회에 북한 소방관을 초청하기 위해 실무 협의 중이다. 세종시는 마을 단위 소지역 단위 교류에 중점을 두고 있다.

지난달 17~22일 대전에서 열린 2018 코리아오픈 국제탁구대회에 북한 선수단이 참가하고 남북 단일팀까지 성사돼 전 세계적인 관심을 집중시켰다. 남북 교류는 하나씩 쌓여 큰 물줄기를 이룬다. 지자체 차원 남북교류의 유용성은 정부와는 별개로 다양한 채널을 가동할 수 있고 상호 윈윈할 수 있는 속성에 있다. 장단기 별로 차분하게 대비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춰야 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