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와 일선 시·군의 방재안전직 공무원이 부족해 충원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국정감사장에서 나왔다. 방재안전직 공무원 확충이 필요한 곳은 비단 충북도만은 아닐 것이다. 방재안전직은 보다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재난관리를 위해 지난 2013년 도입된 공무원 직렬이다. 화재, 홍수, 지진, 가뭄 등 대형 재난사고가 연이어 발생하자 전문공무원을 양성한다는 취지로 신설했다. 재난관리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 만큼 인력확보는 필수라고 하겠다.

충북도와 11개 시·군의 방재안전직 공무원은 13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다보니 진천, 옥천, 괴산, 단양, 음성군 지역엔 방재안전직 공무원이 단 한명도 없는 실정이다. 이래서야 대형 재난사고 발생 시 적절히 대응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 재난에 대한 투자가 소홀한 것 아닌가. 충북과 도세가 비슷한 충남의 방재안전직 공무원 수(26명)와 비교해도 현저히 적다. 강원도의 방재안전직 공무원은 36명이나 된다.

전국 지자체의 방재안전직 공무원 수는 지난 3월 기준 383명으로 지자체당 1.6명에 그치고 있다. 충북도처럼 방재안전직 공무원 충원을 요하는 지자체가 많다는 얘기다. 방재안전직 공무원 직렬을 도입한 지가 얼마 안 돼 일시에 수요인력을 모두 충원하기란 어려움이 있을 줄 안다. 그럼에도 안정적 충원을 촉구하는 건 체계적인 재난관리가 다른 어느 업무보다 긴요한 까닭이다. 정부도 이들을 재난관리의 핵심그룹으로 키우겠다고 밝힌 바 있다.

과거에는 재난에 포함되지 않았던 폭염, 한파 등이 재난의 범위에 포함되면서 방재안전직 공무원의 업무 또한 늘어나고 있다. 상황관리를 하느라 밤샘 비상근무를 하는 경우도 잦다고 한다. 타 직렬보다 방재안전직 공무원의 조기 퇴직 비율이 높은 이유다. 행정안전부가 방재안전직 공무원 181명을 대상으로 벌인 직무실태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응답자의 13%만 '직무에 만족한다'고 답했다. 처우개선에 신경써야겠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