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지방정부가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 문제 해결을 위해 교류협력을 강화하기로 어제 합의했다. 양국의 지방정부 대표단(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중국 시·성장회의)이 대기질 개선과 기후변화대응에서 협력을 강화하는 공동선언문을 발표한 것은 처음이다. 지방정부 차원에서 미세먼지 등 기후와 대기 오염문제 해결을 위한 물꼬를 텄다는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내년 2월부터는 대기오염에 대한 지자체의 역할이 강화된다. 충청권에선 이춘희 세종시장이 지방정부 차원에서의 '2030 온실가스 감축방안'을, 양승조 충남지사는 '충남 기후환경변화 대응 방안'이란 주제를 각각 발표해 주목을 받았다. 때마침 중국 수도 베이징은 올겨울 들어 처음으로 최악의 스모그로 뒤덮여 '오렌지색 경보'가 발효됐다. 우리나라도 전국 대부분 지역에 초미세먼지가 강타한 가운데 오후 들어 중국 내몽골 부근에서 발원한 황사가 한반도로 밀려들어오고 있다.

대기 오염은 어느 한 지역에만 머물지 않는다. 우리나라 미세먼지의 유발요인을 보면 중국이 6이라면 국내요인은 4수준에서 오르락내리락한다. 미세먼지 발생 원인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실태 조사가 선행돼야 한다. 그래야 거기에 따른 후속대책이 나올 게 아닌가. 미세먼지는 1급 발암물질이다. 2015년 초미세먼지로 인한 국내 조기 사망자 수만 1만1924명으로 집계됐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2060년 대기오염에 따른 한국의 인적·경제적 피해가 회원국 가운데 가장 클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

중국과의 공조가 필수적이다. 정부차원에서 한·중 공동으로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환경기술 실증사업을 시작하긴 했으나 실효성을 장담하기엔 이르다. 서울시와 베이징이 어제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공동연구단’을 발족, 미세먼지 발생원인 규명과 함께 저감대책을 연구하기로 한 것은 상징적이다. 충남도 역시 충남 서해안 기후환경연구소를 활용, 기상기후 클러스터를 공동 구축하고 '탈석탄 친환경 에너지 전환 국제 콘퍼런스'도 함께 개최할 것을 제안했다. 정부는 물론 지자체 그리고 다자간 외교 등 다채널을 통해 미세먼지 해결에 나서는 수밖에 없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