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자 중소기업이 증가하면서 그 비중이 매년 상승하고 있다는 건 경제에 안 좋은 신호다. 지난해 적자가 났다고 신고한 중소기업이 20만개에 육박했다. 국세청이 어제 밝힌 국세통계연보를 보면 지난해 0원 이하의 소득을 신고한 중소기업이 19만8252개로 나타났다. 전년보다 1만8412개(10.2%)나 늘어난 수치다. 지난해 법인세를 신고한 중소기업 중 0원 이하 소득을 신고한 적자기업 비중은 35.3%나 된다. 중소기업 10곳 중 3곳 이상은 소득을 내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다.

중소기업은 대한민국 경제를 떠받치는 기둥과도 같은 존재다. 우리나라 전체 사업체 수의 99%와 총고용의 88%를 차지하는 중소기업의 책무야말로 막중하다고 하겠다. 문재인 정부가 중소기업청을 중소벤처기업부로 승격한 이유 역시 중소기업의 역할이 크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적자 중소기업 비중은 지난 2015년 34.4%에서 2016년에는 34.7%로 뛴 뒤 지난해에는 마침내 35%를 넘어섰다.

대기업이 기침만 해도 중소기업은 몸살을 앓는다는 말이 있다. 그만큼 중소기업은 기술이나 자본 면에서 열악하다. 적자 중소기업 중에는 이자비용도 감당하지 못하는 한계기업이 꽤 많다. 지난해 말 기준 한계 중소기업 수는 2730개에 달한다. 국내 외부감사 대상 중소기업의 14.4%가 한계기업이다. 한계기업을 위시한 적자 중소기업들은 금리상승 등 환경변화에 쉽게 도산의 위기로 내몰릴 수 있다.

적자 중소기업이 증가하는 데는 여러 원인이 있을 것이다. 최저임금 인상도 그중하나다. 11월 기업활동에서 경영애로 사항이 무엇이었느냐는 질문(복수응답)에 '내수 부진'이라는 응답이 58.9%로 가장 많았고, '인건비 상승'이 51.7%로 뒤를 이었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최근 전국 중소기업 3150곳을 상대로 '12월 중소기업 경기전망 조사'를 실시한 결과다. 정책자금으로 연명하는 이른바 좀비기업과 건실한 중소기업은 구분해 경쟁력 있는 기업은 육성해야 마땅하다. 중소기업이 무너지면 경제의 근간이 흔들린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