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공동구'의 안전성이 핫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전국에 20년 이상 노후 배관이 산재해 있고 여러 곳의 지하공동구가 화재 위험에 노출돼 있는 까닭이다. 지난 4일 경기도 고양시에서 1명이 숨지고 20여명의 부상자를 낳았던 온수관 파열사고가 또 다시 터질 개연성이 크다. 지난달 24일 서울 KT 아현지사 지하 통신구에서 발생한 화재로 겪은 통신대란도 마찬가지다. 불과 한 달 사이에 지하 인공구조물에서 발생한 사고다.

전국의 전체 배관 2614㎞ 중 20년 이상 사용한 배관은 686㎞로 32%에 달한다. 지역별로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의 노후화율이 77%로 가장 높았고 청주도 12%에 이른다. 배관 파열로 인한 사고가 상존하고 있는 셈이다. 그로 인해 애꿎은 인명 손실은 물론이고 난방용 열 공급이 중단되는 바람에 수많은 시민이 강추위에 떨어야만 했다. 2년 전에도 인근에서 난방용 배관이 터졌고 최근에는 싱크홀 현상이 자주 발생하는 등 조짐이 심상치 않았는데도 배관 관리는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고 한다.

KT 아현 지사는 연속 3년 지하구의 불량사항을 지적받고도 버티다 사고를 당했다. 지하구 소방특별조사 결과 전국 282개 지하구 가운데 16%(45곳)가 불량 판정을 받았다. '지하 공동구'는 지하에 전력망을 비롯해 통신망, 상수도관, 난방용 온수관 등 생활관련 중요공급시설을 공동으로 설치, 점검 보수하기 용이하게 만든 중요시설이다. 도시의 혈관이 지하에 그물처럼 얽혀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국가의 주요 안보시설로 치부되고 있는 이유다. 초연결사회를 지향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어느 한곳이 무너지면 어떤 사태가 발생할건지 상상하기 어렵지 않다.

전형적인 인재사고 유형이라고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정부가 이번 사고를 계기로 20년 이상 노후배관에 대한 긴급점검에 나서기로 했다. 올 2월에도 국가안전 대진단이 시행된바 있다. 안전은 정확한 실태를 토대로 예방과 사후관리를 물샐틈 없이 수행하는 것이다. 안전의식의 생활화가 그것이다. 재난으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일처럼 중요한 건 없다. 모두 경각심을 갖지 않으면 안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