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인바디 인체통신기술 활용
1㎝ x 3.1㎝ 크기… 식도·위 진단

▲ 캡슐내시경. ETRI 제공
[충청투데이 최윤서 기자] 국내 연구진이 인체통신기술을 활용, 사람의 소화기 질환 중 약 54%를 차지하는 식도와 위를 효과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캡슐내시경을 국내 업체와 함께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14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인바디 인체통신기술을 활용, 국내 업체가 보유하고 있던 기존 영상전송속도 대비 4배가 빠른 초당 24장의 고속 전송이 가능케 됐다고 밝혔다. ETRI는 사람의 몸을 매질(媒質)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인바디 인체통신기술로 고속 데이터 통신이 가능해져 식도처럼 캡슐이 빠르게 지나가는 구간에서도 자세한 관찰이 가능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캡슐이 빠르게 내려가다 보면 많은 부분을 한 번에 촬영해야 하는데 이를 해결한 셈이다.

연구진은 고속 촬영으로 용량이 큰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속도를 높이기 위해 △신호변조방식 기술 △아날로그 회로의 수신기 구조 변경기술 등을 활용했다고 설명했다. 내시경에 쓰이는 캡슐의 크기는 1㎝ x 3.1㎝다.

캡슐은 송신기 역할을 하며 내부에는 LED 램프, 두 개의 전·후방카메라, 코인형 배터리, 자석 등으로 구성돼 있다. 캡슐이 촬영한 영상은 몸에 붙이는 전극 또는 벨트타입의 수신부를 통해 체외에 있는 핸드폰 크기의 수신기로 전송되고 저장된다. 해상도는 320x320 dpi 수준이며 배터리는 2시간 지속이 가능하다.

또 의사는 수신기를 보면서 자석이 내장된 캡슐을 몸 밖에서 마그네틱 컨트롤러를 이용해 제어할 수 있다.

자유롭게 캡슐의 자세를 바꾸거나 위벽에 캡슐을 머무르게 만들어 좀 더 자세한 관찰이 가능하다. 연구진은 △상부위장관용 캡슐내시경 △병증판독용 이미지 분석 시스템 △상부위장관용 단말 수신기 등으로 시스템이 구성된다고 설명했다.

기존 상부위장관 검사를 위한 유선 내시경의 경우 재사용에 의한 교차감염과 이물감이나 공기주입으로 인한 복부 불편감, 수검자의 구역질이나 트림이 검진을 어렵게 하는 요소였는데 캡슐내시경은 이러한 단점의 보완이 가능하다. 특히 캡슐내시경은 향후 유선내시경을 대신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의사의 진단을 돕는 역할로도 유망할 것으로 전망된다.

최윤서 기자 cys@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