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가뭄에 조류인플루엔자(AI) 사태까지 겹치면서 밥상물가에 빨간불이 켜졌다. 하루가 다르게 오르는 물가에 장보기가 두렵다는 얘기가 곳곳에서 들린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라지만 서민들이 느끼는 체감지수는 이보다 훨씬 높다. 가뭄피해가 확산되는데다 때 아닌 우박까지 쏟아져 농작물 피해가 이만저만이 아니다. 군산 발(發) AI 확산은 밥상물가의 또 다른 복병이다.

통계청의 5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보면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 보다 2.0% 상승했다. 올해 들어 소비자물가지수는 매월 2%안팎의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석유류 가격이 지난해보다 8.9%나 올라 전체물가를 0.37%포인트 끌어올렸다. 다행히 석유류 상승률은 잦아들고 있지만 축·수산물은 가격이 오르면서 서민가계를 압박하고 있다. 축산물 물가는 11.6% 올라 2014년 6월의 12.6%이후 최대 상승폭을 기록하고 있다.

매일 밥상을 차려야하는 주부들은 농·축·수산물 가격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 지난 겨울 급습한 AI 사태로 달걀과 닭고기 가격이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달걀은 67.9%, 닭고기는 19.1%, 돼지고기는 12.2%나 올랐다. 달걀 한판이 8000원 안팎으로 여전히 부담스런 가격이다. 오징어도 59.0% 상승했다. 채소 값은 비교적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지만 가뭄이 지속되면 들썩일 소지가 있다.

가까스로 잡았나 싶었던 AI가 전북, 제주, 경기, 경남 등 전국으로 확산되면서 제2의 달걀 파동이 발생하지 않을까 걱정이다. AI를 조기에 진압하지 못해 또 다시 대규모 살처분 사태가 일어나면 달걀 값과 닭고기 값 상승으로 이어질 공산이 크다. AI를 반드시 막아야하는 이유다. 농·축·수산물 가격은 계절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고 하지만 어떻게 대처하느냐에 따라서 결과는 달라진다.

경기침체로 궁핍한 서민들에게 밥상물가 안정만큼 위안을 주는 것도 없다. 서민생활과 직결되는 품목에 대해서는 특별 관리할 필요가 있다. 가격 추이를 실시간 모니터링 해 선제적으로 대처해야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수급불안정을 틈타 매점매석하는 행위는 엄벌에 처해야 마땅하다. 가뭄, AI 등 물가상승 요인은 상존하고 있다. 물가 추가상승 억제는 새정부의 시험과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