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생활물가 고공행진이 심상찮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이어진 물가 오름세가 꺾일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최근의 물가오름세는 농·축산물이 주도하는 양상이다. 주부들은 장보기가 겁난다고 말한다. 10만원을 들고 장을 보러가도 별로 구입할 게 없다는 것이다. 폭염·폭우와 같은 계절적 요인을 감안하더라도 너무 오른 느낌이다. 정부와 지자체는 밥상물가 관리에 선제적으로 나서야 한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생활물가지수는 지난해 동기 대비 3.1% 상승했다. 이는 2012년 1월 이후 5년6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의 오름세다. 일상생활에서 소비자들이 자주 많이 구입하는 생활필수품을 대상으로 작성된 소비자물가지수의 보조지표가 생활물가지수다. 쌀, 배추, 쇠고기 등 소비자들의 구입 빈도가 높은 156개 생필품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소비자들의 체감도가 높다.

서민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채소·과일, 전·월세 가격 등이 많이 올라 가계 부담이 크다. 식품이 5.0%, 식품 이외는 2.1% 올랐다. 신선식품지수는 신선과일·채소가 각각 20.0%, 10.3%나 상승했다. 전·월세 포함 생활물가지수는 2.9% 올랐다. 조류인플루엔자(AI) 사태로 폭등한 달걀 값은 여전히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달 오이, 시금치, 배추 가격은 전달보다 무려 50% 안팎 올랐다. 장마와 폭염 탓만 할 일이 아니다.

하반기에 더 이상 물가가 오르지 않도록 해야 하지만 녹록치 않은 실정이다. 기상청은 장기전망을 통해 9~10월까지 고온현상이 지속할 것으로 예보하고 있다. 고온이 이어지면 농작물 상품가치가 떨어져 물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과일, 육류 등의 수요가 몰리는 추석 철에는 전통적으로 물가가 오르는 경향이 있다. 추석명절은 채 2개월도 남지 않았다.

생활물가 불안요소를 잠재워야 한다. 곳곳에서 적신호가 보이는데도 미온적으로 대처해선 곤란하다. 정부는 소득주도 성장을 기치로 내걸고 있다. 하지만 가계 소득이 늘어도 물가가 더 오르면 소득증가 효과를 체감하지 못할 것이다. 출하조절 기능이 중요하다. 주요 식품의 공급을 탄력적으로 하면 가격 안정을 꾀할 수 있다. 업체 간 담합, 매점매석 행위 근절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