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충남도가 밀 생산 확대에 본격적으로 나섰다는 소식이다. 밀은 '제2의 국민주식'이라 불릴 정도로 쌀 소비량에 버금가지만 국내 자급률은 1.8%에 그친다. 2016년 기준 1인당 밀 소비량은 연간 32.1㎏으로 쌀(61.9㎏) 다음으로 많다. 우리밀 생산량은 전국적으로 4만t이 채 되지 않는다고 한다. 이러다보니 국내 소비량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해 한 해 수입물량이 430만t을 넘는다.

도내 밀 재배 면적은 전국의 1.1%로 밀 산업이 매우 미약한 형편이다. 도는 밀 재배 농가에 생산 장려금과 시설장비 등을 제공해 자급률을 끌어올리겠다는 복안이다. 우선 올해 10억원을 들여 40㎏ 한 포대 당 일반 밀은 5000원, 무농약 밀은 7000원, 유기농 밀은 1만원의 생산 장려금을 주기로 했다. 건조기, 저온저장고 등 시설을 지을 수 있도록 1㏊ 당 200만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70년대 까지만 해도 밀 재배면적은 10만㏊를 넘었으나 매년 재배면적이 급감해 5000㏊ 이하로 떨어진 적도 있다. 그나마 2000년대 들어 우리 밀을 살리자는 운동이 일면서 재배면적이 약간 늘긴 했지만 밀 산업의 위축은 여전하다. 수입 밀과의 경쟁력 저하는 밀 재배면적의 급격한 감소를 불러왔다. 국산 밀은 수입 밀 보다 2~3배가 비싸 상대적으로 설 자리가 좁다.

도가 밀 생산 확대에 나건 건 식량안보 차원에서도 바람직스럽다. 제2의 국민주식인 밀의 자급률이 고작 2%도 되지 않는다면 비정상적이다. 정부는 2020년까지 자급률을 5.1%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을 내놓았다. 벼농사의 대체작물로 밀 재배를 고려할 만하다. 쌀은 남아돌아 걱정이다. 소비 진작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학교급식에 우리 밀을 사용하도록 하는 등의 우리 밀 장려시책이 요구된다.

안정적인 생산기반 체제 확보는 수급조절을 전제로 한다. 국산 밀은 3~5년 주기로 과잉과 부족을 오가는 수급불균형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고 한다. 급격한 가격변동에 대비해 국가나 지자체가 공공비축을 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밀 재배가 소득을 보장한다면 재배면적은 늘어나기 마련이다. 충남도의 '우리 밀 생산 지원 사업'이 식량주권을 지키고 농가소득에도 기여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